도서관 목록의 전거 개념과 흐름도
기업, 조직 성과관리 방법 – MBO, BSC
이번 시간에는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로 활용되고 있는 도메인네임과 도메인종류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모든 인터넷 사이트는 도메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상에서 쉽게 접하지만, 주소 뒤에 붙는 각 네임들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전달하고자 자료를 만들게 되었다.
도메인의 개념부터 간단히 알아보자면, 원래 인터넷사이트는 숫자로 된 IP 주소를 사용하지만 사용자들이 이를 외우고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기억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문자 형태로 표현한 주소이다.
사용자는 이렇게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입력해 사이트에 접속하지만 컴퓨터는 DNS(Domain Name Server)를 통해 다시 문자를 IP 주소로 바꾸어 이용자가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중간 역할을 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DNS의 개념
DNS는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도메인 네임을 입력했을 때 해당 도메인에 연결된 IP 주소를 찾아 반환하는 해석 과정을 거친다.
쉽게 말해 인터넷의 주소록이라 할 수 있으며 사람들이 쉽게 기억하기 좋은 웹 주소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숫자(IP 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보이지 않는 이런 과정 때문에 사용자는 숫자를 외울 필요 없이 문자만으로 인터넷을 탐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요약하자면 DNS는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자가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여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중간 역할을 해주는 중요한 인터넷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도메인의 구조
도메인 네임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순서를 갖고 있다. 각 서비스별 이름이 먼저 위치하고 그다음으로 조직의 종류, 국가 이름 순서로 표현된다. 현재 사이트인 www.gklibrarykor.com 을 예로 들면 gklibrarykor(서비스 이름), com(영리기관)으로 분리해 해석할 수 있다. www(world wide web)는 주소에 입력하지 않아도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자료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서비스 이름은 사이트를 개설하고자 하는 사람이 각자 정하는 고유의 이름이므로 특별한 구분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뒤에 붙는 기관명과 국가명은 규칙적으로 정해져 있기에 본 자료에서 본격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소속기관 서브 도메인
먼저 위의 이미지는 서비스 이름 뒤에 붙게 되는 각 기관의 서브도메인 네임이다. 일반적인 사이트에서 가장 흔하게 보이는 co는 영리기관을 말하며, go는 정부기관, or은 비영리 기관을 말한다.
그리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도 별도의 기관 도메인 네임을 가지고 있는데, 초등학교는 es, 중학교는 ms, 고등학교는 hs, 대학교는 ac를 각각 가지고 있다.
국가코드 도메인
그다음으로 살펴볼 것은 기관명 뒤 마지막 자리에 위치한 국가코드 도메인 네임이다. 한국은 kr을 사용하고 있으며 co.kr이나 go.kr과 같은 도메인들은 흔히 봐왔을 것이다. 이 외에도 다른 국가들도 각기 영문 국가명을 축약해서 도메인으로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일본은 jp, 중국은 cn, 미국은 us, 영국은 uk를 사용한다.
해외 사이트를 자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이러한 도메인을 알아두면 좋은 참고가 될 것이고, 국내 사이트만 이용하는 사용자라면 kr만 알아두고 있어도 무방하다.
일반 최상위 도메인
반면, co.kr과 같이 두 코드를 합성한 형태가 아닌 서비스 이름 뒤에 바로 한 코드만 자리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도 아주 흔하게 볼 수 있는 단어가 하나 있는데 바로 com 이다. 영리기관의 도메인 네임으로 사용되는 .com은 기억하기도 쉽고, 예전 .com 열풍으로 많은 도메인이 서비스되어 현재 포화상태에 있는 주소이기도 하다.
특히 문자의 한계를 이용해 특정인이 .com 주소를 사재기하여 선점하는 문제도 있어 이미 웬만한 .com 주소는 남아있지 않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인 상황이다.
이 외에도 공공기관에서 종종 사용하는 org를 비롯해, 미국 기관들이 사용하는 edu, gov, mil과 같은 도메인 네임도 별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상으로 대부분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메인 네임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문자를 IP 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DNS의 개념까지 간단히 알아보았다. 사실 국내 사이트만 주로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수많은 도메인 네임 중에서 단 몇 가지만 알아두어도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하거나 홈페이지를 개설하는데 큰 지장은 없다.
본 자료에서 소개한 DNS와 도메인 네임의 종류와 개념들을 알아두면 어떤 사이트에 왜 이런 주소가 사용되었는지 이해하기 수월할 것이라 생각한다. 모르면 그냥 지나가겠지만 머리에 이해가 된 순간부터는 상단의 URL창을 한 번은 더 살펴보고 지나가게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