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CL(저작권, 저작물 이용허락) 개념 정리

도서관 대출, 반납 시스템의 흐름도와 개념
이번에는 대학이나 연구기관 등에서 주로 구축하여 이용하는 리포지터리라는 개념과 무료논문을 받아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리포지터리란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오픈액세스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으로, 조직이나 연구기관 안에서 생산되는 각종 정보들을 수집하여 이용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개방형 디지털 도서관을 말한다.
리포지터리 개념

리포지터리 개념도
이와 관련하여 리포지터리에 대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간단하게 만들어 본 개념도는 위와 같다.
리포지터리는 데이터베이스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DB 응용분야이며, 체계적으로 자료들을 아카이빙하여 이를 보존하고 이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즉, 하나의 대학이나 연구기관 내에 분산되어 있는 각종 문서나 자료들을 모아 한 저장소에서 관리해주는 기술을 말하는 것이다.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도서관
그리고 오픈액세스를 목적으로 함으로써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하고 유통할 수 있다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며, 국제표준 라이선스인 CCL을 통해 그 저작사항과 이용범위를 표기하고 있다.
참고로 오픈액세스란 학술정보 등의 자료를 누구나 아무런 장벽 없이 인터넷에서 자유롭게 읽고 쓸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리포지터리를 운영하는 주 기관이 대학이나 연구기관임에 따라 그 콘텐츠는 대부분 학술정보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학술·학위논문, 보고서, 전자책, 멀티미디어 콘텐츠, 교육용 콘텐츠, 특허정보 등 여러 유형의 정보를 취급한다.

리포지터리에는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보관한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자료가 하나로 모여 있는 리포지터리 검색을 통해 원하는 자료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기관은 자료를 한 곳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많은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료논문 검색 방법(OAK)

무료논문을 찾을 수 있는 OAK
OAK는 Open Access Korea의 약자로써, 앞서 필자가 언급한 개념인 오픈액세스 및 리포지터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사이트이다.
이 사이트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기관리포지터리 정보를 통합검색할 수 있는 곳이다.

‘블로그’ 단어 검색 결과
각자 원하는 단어로 검색을 하면 위와 같이 검색결과가 나오는데, 원하는 논문의 [원문보기]를 클릭하면 해당 리포지터리의 원문이 있는 곳으로 연결돼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물론 각 학교 도서관이나 공공도서관 등에서 구독하고 있는 논문 데이터베이스 사이트의 자료 수에 비하면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 이용자가 즉각적으로 무료 논문이 필요할 때는 이곳에서 자료를 찾는 것이 훨씬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이상으로 리포지터리라는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일반적으로 유료로 제공되어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없는 고급 전문자료를 오픈액세스 개념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자료공간이라는 것이 핵심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자신들이 생산한 논문 및 자료를 개방하는 리포지터리를 운영하는 대학과 기관이 늘어날수록 다수의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지식정보의 폭이 훨씬 넓어질 것이고, 이는 한 단계 더 나아가는 학문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